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ariaDB] MariaDB 설치 (Windows용)
    Maria DB 2021. 1. 12. 21:05

    MariaDB는 오픈소스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문법이나 기본적인 설정 등이 거의 MySQL과 동일하다. MariaDB는 MySQL이 오라클을 통해 라이센스가 유료화되면서 MySQL 창업자가 오라클을 나와서 회사를 설립하고 개발한 DBMS다. 자세한 기업 스토리는 잘 정리해놓은 글이 따로 있을 테니 검색해서 찾아보자.

     

    1. MariaDB 다운로드

    - MariaDB 다운로드 사이트를 통해서 다운받을 수 있다.

    MariaDB 다운로드 사이트 화면

    - 웬만하면 '극' 최신 버전은 피하는 게 맞지만, 어디까지 큰 단위의 버전 변화의 경우이다.

    - 10.4x 에서 10.5.0이 나오자마자 받으면 호환성 문제 같은 게 발생할 수 있디.

    - 하지만 여기선 10.5.8 버전이기 때문에 10.5에서 발전한 버전임을 알 수 있다.

    - 릴리즈 노트를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보통 큰 버전이 나뉘는게 아닌 이상, 보안 강화같이 기존에 쓰던 방식이 달라지는 게 아니라 가벼운 수정, 추가 정도이다.

     

    마리아DB 설치파일

    - Windows용, 64bit 버전으로 다운받아준다.

     

    2. MariaDB 설치

    - 다운이 완료되면 설치파일을 실행해준다.

    - 사진 순서대로 차례대로 설치를 진행한다.

     

    - 'Use UTF8 as default server's character set' : UTF-8형식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인데, 한글을 위해서 체크해주자.

    - DB에서 사용될 root계정(최상위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본인 맘대로 하되, 잊어버리지 말자.)

    - 별다른 조작은 필요 없고 그저 지나가면 된다.

    -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 완료가 됐으면 Finish를 눌러준다.

    - 설치가 완료되면 [Maria DBMS]와 이에 쿼리를 요청할 수 있는 [Heidi SQL]이 모두 설치된다.

    - 즉, '서버(DBMS)와 클라이언트(Heidi)가 모두 설치됐다'는 의미다.

     

    3. 샘플 테이블 및 데이터 준비

    - 구비한 교재에 나와있는 사이트로는 'cafe.naver.com/thisisMySQL'에서 [교재 자료실] - '샘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링크를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되는 듯한데, 어째서인지 되지는 않는다. 멋대로 공유해도 되는지는 모르니 파일이 있다는 가정 하에 글을 이어서 쓰겠다.

    - 데이터를 다운 받았으면 'C:\employees\'폴더에 압축을 풀어준다.

     

    - 위와 같은 아이콘이 있을 텐데, DB에 쿼리를 요청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하이디 SQL)

    - 아이콘을 더블 클릭해서 실행해준다.

    -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만약 나오지 않는다면, '신규'로 해서 추가해주자.

    - 앞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했을 것이다. 여기서 root 밑 암호에 입력해주고 열기를 눌러준다.

    -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띄워졌다.

    - 앞선 경로대로 따라가서 설치할 경우 받을 수 있는 DB는 'employees'이다.

    - 그 DB를 삭제했다가(DROP ~) 새로 생성하고(CREATE ~) 사용하는(USE ~) 쿼리다.

    - 시작화면에서 'MariaDB 10.5(x64)'에서 Command Prompt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준다.

    - 그리고 다음의 붉은색 폰트 부분을 차례대로 실행한다.

    - mariadb -u root -p employees 다음에는 설정했던 root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 하이디 SQL로 돌아가서 'employees'의 '데이터'탭을 보면 데이터가 입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이제 쿼리 탭을 이용해서 다양한 쿼리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졌다.

     

     

    ※ 이 게시물은 '이것이 MySQL이다' 교재와 엔코아 플레이데이터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