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Linux] VMware CentOS 설치 (Windows용)
    Linux (CentOS) 2021. 1. 30. 21:34

    시작하기에 앞서, VMware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여기를 눌러서 설치하길 바란다.

     

    1. CentOS

    -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배포판 중 하나인 Red Hat Linux의 오픈 소스를 그대로 가져와서 로고만 변경하고 다시 컴파일해서 만든 것이 CentOS다.

    - 기업에서는 가용 비용이 있다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에서 구매해서 쓰면 되고 아니면 CentOs를 쓰면 된다.

    - 사실상 두 개는 똑같고 비용이 있고 없고의 차이이다.

    - 굳이 다른 차이점을 찾자면 비용을 냈기 때문에 회사에서의 A/S정도가 가능한 점일 듯하다.

    - CentOs 8 설치를 위한 HW 요구사항

    > CPU : 64bit

    > HDD : 20GB 이상의 여유 공간 권장

    > Memory : 4GB 권장 (최소 2GB)

     

    2. CentOS 설치

    - 먼저 CentOS iso 파일이 필요하다.

    - 나는 공유 드라이브에서 받았지만, CentOS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1) CentOS 설치하기

    > 이번 설치를 위해서 'Test'라는 VM을 생성했다.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클릭.

    > 'CD/DVD'에서 'Use ISO image file'을 선택해서 앞서 받은 iso image 파일을 선택한다.

    > 'Play virtual machine', 실행한다.

    > 실행하고 나면 여러 항목들을 체크하고 이 화면이 나타난다.

    > 마우스로 VM 내부를 클릭해 키보드 방향키로 첫 번째 옵션을 선택하고 Enter.

    > 언어가 뭐 되게 많은데 검색창에 'ko'치고 한국어로 골라준다.

    > 뭔가 항목이 많다. 차례차례 다 차례차례 설정할 것이다. 먼저 'Keyboard' 선택.

    > '+'를 눌러서 '영어(미국)'을 찾고 추가한다.

    > 목록에 한국어가 맨 위, 영어가 그 아래로 설정되어있을 건데, 영어 선택하고 목록 맨 위로 올려주고 완료.

    > 지역과 도시를 아시아, 서울로 선택한다.

    > 아직 VM의 화면 설정이 제대로 안돼서 좀 잘렸는데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이다. 클릭.

    > 기본적으로 '끔'이 되어 있을 텐데 '켬'으로 바꿔준다.

    > '설치 목적지' 선택.

    > 빨간 박스, 파란 박스 순서로 눌러주고 완료.

    > '표준 파티션'을 눌러주고 '+' 버튼을 누른다.

    > 마운트 지점은 'swap', 원하는 능력은 '4G'로 한 뒤 마운트 지점 추가.

    > '+'눌러서 마운트 지점 '/'로 하나 더 추가.

    > 완료.

    > 무시하고 그냥 적용해준다. (사실 뭔지 잘 몰라)

    > 소프트웨어 선택에서 '워크스테이션'으로 바꿔준다.

    > 대망의 설치 시작이다.

    > 설치하려면 시간이 좀 걸린다. 그동안 root 암호와 사용자를 생성해주자. Root 암호 선택.

    > 비밀번호는 마음대로 하면 된다. 어차피 로컬에서 나 혼자 쓰므로 그냥 기억하기 쉽게 'password'로 했다.

    > 나머지 User Creation에서 'centos'라는 계정을 만들어준다. 비밀번호도 동일하게 'centos'로 했다.

    > 완료되면 재부팅을 해야 한다.

    > 재부팅하게 되면 이런 창이 나오는데 몇 초 기다리면 위에 꺼가 선택된다. Enter로 눌러도 된다.

    > 부팅이 완료되면 초기 설정 화면이 나온다. 라이센스 동의를 해준다.

    > 약관에 동의하고 완료.

    > root로 로그인할 것이므로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

    > 'root' 입력 후 다음.

    > 암호를 입력해준다. 아까 root 비밀번호를 'password'로 했다. 입력하고 로그인.

    > 한국어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넘어간다.

    > 크게 상관은 없을 듯한데 '한국어(Hangul)'로 하고 넘어간다.

    > 기본적으로 켜져 있을 것이다. 그냥 넘어간다.

    > 온라인 계정 연결도 건너뛴다.

    > 설정이 끝났다. 리눅스를 시작해보자.

    > 우측 상단에 전원 표시를 누르고 설정을 위해 빨간 박스 안 버튼을 누른다.

    > 설정창이 떴을 것이다. 먼저 장치-디스플레이로 간다.

    > 해상도를 '1024x768(4:3)'으로 하고 적용하면 위와 같이 나올 것이다. '바뀐 사항 유지' 클릭.

    > '개인 정보' 들어가서 화면 잠금을 위와 같이 꺼준다.

    > 전원에서 절전을 위와 같이 설정한다.

     

    이로써 CentOS 설치와 가벼운 설정까지 마쳤다. 필요한 명령어나 개념은 TIL에 작성해야겠다.

     

     

    ※ 이 게시물은 '이것이 리눅스다' 교재와 엔코아 플레이데이터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Linux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inux(CentOS) 설치 (Windows용)  (0) 2021.01.27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