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TIL] 21.01.12 네트워크 기본 개념(2), HTML 입력 양식Cloud/클라우드 아키택트 양성과정 2021. 2. 24. 23:13
[21.01.12] 네트워크 기본 개념(2), HTML 입력 양식 * WIFI - 무선 LAN - IEEE 802.11 통신 - 전송 매체로 '전파(Radio Wave)'를 사용한다. - CSMA/CA(Collision Avoidance) 방식 > 유선 LAN의 CSMA/CD 방식보다 충돌을 피하기 위한 대비책이 많은 방식이다. * AP(Access Point) - 한쪽은 유선, 나머지 한쪽은 무선을 연결해주는 역할 * 공인/사설 IP 1) 공인 IP >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IP다. > 전세계적으로 ICANN이라는 기관이 국가별 IP 대역을 관리한다. > 우리나라는 인터넷 진흥원(KISA)이 관리한다. > 임의로 아무 IP주소나 컴퓨터에 지정한다고 해서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 > 할당받은 주소인 공..
-
[백준 1436] 영화감독 숌 - Python3알고리즘 문제 풀이/BOJ 2021. 2. 17. 21:21
[백준 1436] 영화감독 숌 - Python3 - 제목에 '666'이 들어가게 네이밍 된 영화 시리즈가 있을 때 N번째 시리즈의 제목을 출력하는 문제다. N :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숫자를 출력한다. (1) 정말 바보 같은 실수를 저질렀다. 문제만 보고 그냥 단순하게 1번째가 666, 2번째가 1666이니 N번째 영화의 제목은 당연히 (N-1)666일 거라고 생각했다. 6660~6669가 중간에 들어가는데 이를 생각하지 못했다. 그래서 다시 또 당당하게 틀렸다 ㅠㅠ (2) 규칙성을 다시 생각했다. N이 한 80 정도 갈 때까지 '666'이 들어간 숫자를 차례대로 나열해봤다. 하지만 큰 규칙성을 찾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그냥 1부터 차근차근 숫자를 더하다가 문..
-
[TIL] 21.01.11 OSI 7계층, HTML 기본Cloud/클라우드 아키택트 양성과정 2021. 2. 17. 20:21
[21.01.11] OSI 7계층, HTML 기본 * OSI 7계층 - 통신 기술의 도입과 기능 확장을 쉽게 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계층화하게 됐다. - 통신 기능을 7개의 계층으로 분류하여 계층마다 프로토콜을 규정한 규격일 OSI 모델이라 한다. -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며 한 계층의 변경이 다른 계층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기능에 필요한 몇 개의 계층만 표준화시키면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 데이터의 단위를 '패킷'이라 하는데 계층마다 표현이 다르다. - 프레임(데이터 링크 계층), 패킷(네트워크 계층), 세그먼트(전송 계층)로 라벨을 붙인다. -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가 지나면서 헤더(header), 트레일러(Trailer)가 붙는다. - 헤더는 각 계층의 정보가 추가되고 트..
-
[TIL] 21.01.08 네트워크 기본 개념Cloud/클라우드 아키택트 양성과정 2021. 2. 15. 22:55
[21.01.08] 네트워크 기본 개념 * 인터넷/인트라넷 - 인터넷(Internet)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 인트라넷(Intranet) : 내부 네트워크(ex.사내망), 외부에서 접속 불가 - 둘 다 TCP/IP 프로토콜 사용 * LAN/WAN - LAN(Local Area Network) : 어느 한정된 공간에서의 네트워크 - WAN(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곳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이더넷(Ethernet) - IEEE 802.3 2002 표준 -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48비트 길이의 고유 MAC주소를 가진다. - 전송 매체로는 BNC, UTP, STP 케이블을 사용한다. (주로 UTP 사용) - 각 기기의 상호 연결에는 허브, 네트워크 스위치, 리..
-
[백준 2231] 분해합 - Python3알고리즘 문제 풀이/BOJ 2021. 2. 8. 23:07
[백준 2231] 분해합 - Python3 -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의 분해합을 N과 N을 구성하는 자릿수의 합이라고 한다. -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이라면 M은 N의 생성자라고 한다. -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하는 문제다. 첫째 줄 : 자연수 N 가장 작은 생성자를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 0을 출력한다. (1) 그냥 읽어만 봐서는 생각보다 헷갈려서 결국 손으로 적어서 이해했다. 1. 문제의 입력이 123이라고 하면 123의 생성자를 출력한다. 2.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123이 될 수 있는 경우를 출력한다. 이 두 줄을 이해하는데 직접 손으로 써야했다. 이해력이 많이 떨어진 것 같다... 자릿수의 숫자를 더해주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수형으로 입력 받..
-
[TIL] 21.01.07 웹 , 웹 문서, 웹 서버, WAS, HTTP, 크롤링Cloud/클라우드 아키택트 양성과정 2021. 2. 7. 21:50
[21.01.07] 웹 , 웹 문서, 웹 서버, WAS, HTTP, 크롤링 * 웹(Web) - 인터넷 초창기엔 E-mail, FRP 등 학자나 전문인 등이 소규모로 사용했다. - 시간이 지나 www의 등장으로 대중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1) WWW(World Wide Web) >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여러 컴퓨터에 분산된 정보를 쉽게 찾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 팀 버너스 리가 개발했다. * 웹 문서 - 클라이언트가 웹을 통해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면 응답으로 오는 콘텐츠를 말한다. 1) 정적 웹 문서 > 사이트 관리자가 문서를 변경하지 않는 항상 동일한 내용을 전달한다. > html, jpg, 영상, 음원 등이 해당된다. 2) 동적 웹 문서 > 요청 시마다..
-
[TIL] 21.01.06 링크, RPM, 파일묶기, 네트워크 등Cloud/클라우드 아키택트 양성과정 2021. 2. 6. 22:42
[21.01.06] 링크, RPM, 파일 묶기, 네트워크 등 * 링크 - 파일의 링크는 하드 링크, 심볼릭 링크가 있다. - 하드 링크 생성 시 하드 링크 파일이 생성되며 원본 파일의 inode를 가리킨다. - 심볼릭 링크 생성 시 새로운 inode를 생성하면서 가리키고 그 inode는 원본 파일을 가리킨다. 더보기 ※ inode? > 파일에 대한 정보(소유자, 권한 등)를 갖고 있다. > 파일의 내용이 데이터 블록에 저장되고 inode는 이 블록의 pointer를 가리킨다. ※ 하드 링크, cp 차이 > cp는 새로운 inode, 새로운 데이터 블록이 생성된다. > 하드 링크는 같은 inode를 가리킨다. > 하드 링크는 원본 수정 시 변화하고 cp는 원본이 바뀌어도 그대로다. * RPM(Redhat ..